사람은 해가 지면 쉬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격투기 경기에서 피투성이가 된 선수들이 용맹스럽게 싸우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나라면 겁도 나고 아파서 죽을 것 같은데, 그 사람들은 고통을 모르는 전사처럼 쉴 새 없이 주먹을 뻗는다. 이유가 있다. 사람의 몸은 일정 정도의 스트레스를 능히 극복하도록 설계돼 있다. 뇌는 공포나 스트레스를 느끼면 몸속에 아드레날린 혹은 코르티솔이라는 이름의 호르몬을 분비한다. 아드레날린은 특정 근육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혈관이 확장되면 그쪽으로 몸의 에너지가 확 쏠려서 비정상적인 힘이 발휘된다. 일시적인 슈퍼맨이 되는 셈이다. 원시 인류는 매우 연약한 포유류였지만 스트레스 호르몬 덕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 사자가 나타나면 스트레스 호르몬 덕에 비정상적인 힘으로 빨리 도망갈 수 있었다. 격투기 선수들이 피투성이로 싸우면서도 고통을 거의 못 느끼는 이유도 아드레날린 때문이다. 온몸의 신경이 싸우는 일에만 집중돼 고통을 인식하는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것이다. 

스트레스 호르몬의 슬픈 진실
‘와, 그거 참 멋진 이야기인데?’라고 함부로 말해서는 안 된다. 스트레스 호르몬은 인간을 일 시적인 슈퍼맨으로 만들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고통을 느껴야 하는 동물이다. 몸이 아프다는 것은 ‘더는 무리야. 이제 그만둬야 해!’라는 몸의 신호다. 그런데 아드레날린은 이 신호를 무시하고 몸의 힘을 계속 한 곳에 집중시킨다. 이 때문에 다른 영역의 기능이 정지된다. 아드레날린이 많이 분비되면 소화나 배변, 사색 등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래서 이런 ‘일시적 슈퍼맨’을 멋지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일시적 슈퍼맨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몸은 다른 방식으로 서서히 죽어간다. 사자한테 물려 죽지는 않지만, 소화장애로 몸이 약해져서 죽는 것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유일한 해법은 반드시 스트레스 호르몬에 준하는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사자한테 쫓기다 안전한 동굴에 들어오면 사람의 몸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줄어들고, 휴식 호르몬 혹은 보상 호르몬이 온몸에 퍼진다. 심장 박동이 느려지고 근육도 이완된다. 소화 기능이 다시 돌아오고 면역 기능도 활성화된다. 이때가 되면 비로소 사람은 긴장을 풀고 주변과 소통을 시작한다. 사랑도 하고, 추억도 나눈다. 이 모든 것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됐을 때에는 불가능했던 일들이다. 
이 두 과정이 반복돼야 인간은 인간답게 살아남을 수 있다. 그래서 해가 진 이후의 시간을 잘 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는 아침부터 서서히 올라가기 시작해 낮에 최고조에 이른다. 생존을 위해 몸이 긴장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해가 떨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서서히 줄어든다. 사람은 이때 사랑하고, 소통하고, 생각하고, 추억나누며 인간다운 삶을 살기 시작한다.

▲ 7월 3일 '더 이상 죽을 수 없다'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양경수 위원장 등 참가자들이 구호 를 외치고 있다.
▲ 7월 3일 '더 이상 죽을 수 없다'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양경수 위원장 등 참가자들이 구호 를 외치고 있다.

휴식은 효율적이다
다른 이야기를 하나 더 해보자.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레슬리 펄로(Leslie Perlow) 교수 의 실험 중 이런 것이 있다.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는 컨설턴트들을 두 그룹으로 나눴다. 첫 번째 그룹에는 주 50시간 이상 일을 시키고 휴가도 일절 못 쓰게 막았다. 또 각종 통신기기를 이용해 24시간 내내 회사 와 연결된 상태로 일을 하도록 했다. 
두 번째 그룹에는 주당 40시간만 일을 시켰고 휴가도 남김없이 쓰도록 장려했다. 퇴근 후에는 고객과 통화를 일절 못 하도록 막아 업무 와 완전히 단절된 온전한 휴식을 누리도록 했다. 어느 쪽이 더 높은 업무 효율을 보였을까? 이 질문을 잘 봐주시기 바란다. ‘어느 쪽 노동자들의 업무 만족도가 높았을까?’를 물은 게 아니다. 업무 만족도는 당연히 두 번째 그룹이 높다. 펄로 교수는 업무 만족도를 측정한 게 아니라 업무 효율성을 측정한 거다. 그런데 두 그룹의 업무를 점수로 평가한 결과, 업무 효율성마저 압도적으로 두 번째 그룹이 더 높았다. 펄로 교수는 광범위한 후속 연구를 통해 주5일이라면 하루 7시간, 하루 8시간이라면 주4일 노동이 노동자들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는 적절한 노동시간임을 밝혀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어떤 방식이건 오후 6시 이후에는 무조건 노동을 중단해야 한다. 장시간 끝없이 일하는 것보다 적절한 휴식이 동반돼야, 즉 긴장과 이완이 적절히 반복돼야 노동의 효율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펄로 교수의 연구는 빨갱이들이 만든 사회주의 잡지에 실린 이야기가 아니다. 전 세계 경영자들이 참고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Harvard Business Review)』에 실린 내용이다. 그런데 한국 자본가들은 이런 실증적 연구까지 무시하고 노동자들을 어떻게든 더 오랫동안 굴리려 한다. 

도대체 왜 그러는 것일까? 그들은 사실 일의 효율에 별 관심이 없다. 정작 그들이 관심을 두는 것은 ‘어떻게 하면 노동자들을 잘 통제할 것인가?’이다. 
타임 푸어(Time poor)라는 용어가 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시간빈곤층’쯤 된다. 현대 사회에서 민중들은 단지 돈만 부족한 것이 아니라 시간도 턱없이 부족하다. 그래서 늘 쫓기듯 살아간다. 민중들을 경제적으로 가난하게 만드는 것은 자본의 오랜 전략이다. 가난한 민중들이 득실대야 훨씬 낮은 임금으로 노동자들을 착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을 받는 일자리 하나 툭 던져주면, 그거 차지하기 위해 민중들끼리 서로 치고받는다. 바로 이때 자본은 노동 착취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자본 입장에서 보면 가난한 민중들이 풍요로운 민중들보다 훨씬 통제하기 쉽다. 이 관점에서 보면 우리가 왜 늘 시간에 쫓기는지 이해가 된다. 우리가 타임 푸어로 사는 이유는 자본이 우리의 시간을 통제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구조적으로 민중들의 시간을 박탈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7월부터 마침내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도 주 52시간 노동이 적용된다. 이 간단하고도 효율적인 일을 왜 이렇게까지 미적거렸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지만, 어쨌든 이제 더 많은 노동자들이 정상적인 삶을 누릴 계기가 마련됐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노동자는 쉬어야 한다. 특히 해가 지면 쉬어야 한다. 이건 노동자의 권리를 쟁취하는 문제를 넘어서서 국가의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공무원U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