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남 칼럼] 숲에서 세상을 만나다 <3>

자연은 생각이 다르다고 없애지 않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연’(自然)이란 그대로 풀이를 하면 ‘스스로 이루어진 그러한 세계’라 말할 수 있다. 자연이란 무궁한 시간을 거치며 스스로 이루어진 조화로운 세계이다. 모든 생명들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다른 생명을 살리는 조화로운 세계이다. 진정한 상생공동체라 말할 수 있다.

나무의 삶은 이러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나무는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나뭇잎을 통해 우리가 광합성이라고 부르는 탄소동화작용을 한다. 대기 중에 있는 탄소를 흡수하여 햇빛에 버무려 자신에게 필요한 포도당을 직접 만들어 섭취한다. 그 과정에서 나무에게는 불필요한 것이 발생한다. 나는 그것을 부르기 편하게 나무 방귀라고 말하는데, 바로 산소이다. 이 산소를 통해 사람들 뿐 아니라 수많은 생명들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것이 진정한 상생의 삶이다.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것만으로 다른 생명을 살리는 것이다. 자연의 상태에서는 모든 생명들이 자신의 삶으로 서로를 살리며 이처럼 날줄, 씨줄로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람들이 자연에 들었을 때 마음의 위로와 안식, 평안을 얻는 이유는 바로 이것이다. 자연은 그것이 어떤 생명이든 ‘있는 그대로의 삶’을 받아들여 주기 때문이다. 가문비나무이든, 참나무이든, 붉나무이든, 팽나무이든, 국수나무이든 가리지 않는다. 장미꽃이든, 들국화이든, 쑥부쟁이든, 개망초꽃이든, 어수리이든, 풀이든 가리지 않는다. 돈의 많고 적음을 따지지도 않고, 훌륭한 것을 따지지도 않는다. 생각이 다른 것은 더더욱 따지지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 들여 준다. 자연은 모든 생명을 존중하며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인다.

▲ 삼나무 숲.
▲ 삼나무 숲.

문명화된 사회라는 것은 별 다른 것도 아니며 특별히 새로운 것도 아니다. 바로 자연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이다. 자연이 보여주는 진정한 상생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아무리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생명일지라도 그 생명의 가치, 삶의 의미를 존중하는 것이다. 그 생각과 삶이 존중 받는 사회가 바로 문명화된 사회이다.

인류의 지난 역사를 보면 사회적 강자가 사회적 약자의 생각을 통제하고 다스리려는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지키는 사회로, 모든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을 담보하고 생각을 보호하는 사회로 변화 발전해 왔고, 또 그렇게 나아가고 있다. 21세기라는 지금의 문명화된 사회에서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공산주의는 말 할 것도 없고 제대로 된 사회주의국가라고 평가하기에도 모자란 북한의 독재체제를 제외하고는 전 세계의 문명화된 국가들은 모두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OECD에 가입되어 있는 선진국이라 자랑하는 세계적인 경제대국 한국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가치가 퇴보하고 있다. 역사의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 정부 들어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일들은 그것을 여지없이 드러내 보여준다.

얼마 전 김관진 국방장관이 국회에서 한 말은 이러한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군의) 심리전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군이 나라의 주권자인 국민들의 생각을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세금을 거둬 군대를 양성하고 있는 나라의 주인의 생각을 충복이어야 할 군대가 통제하고 제 입맛대로 다스리겠다는 것이다. 주인을 작전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너무나 놀랍고 어이없는 발상이다. 소위 주체사상으로 무장되어 있다는 북한사회에서나 가능한 발언이다. 유신 시대의 망령을 보는 듯했다. 이 뿐인가. 국정원을 비롯한 국가기관의 총체적인 부정 선거 의혹이 짙어지자 물타기 전략으로 전국공무원노조에 이어 전교조까지도 대선개입의혹을 수사하기 시작했고, 전교조를 법외노조화 시켰으며 급기야는 진보당 해산청구까지 감행하였다. 21세기의 문명화된 민주국가에서는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고 있다. 정상적인 사회라고는 보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히 진보당의 해산 청구는 전 세계적인 웃음거리가 아닐 수 없다. 이는 진보당에 대한 지지 여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문제이다. 우리 사회가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존중하고 받아 들여 함께 살아가는 민주주의 국가인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문명화된 사회인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더 나아가 국가의 주권자인 국민들의 주권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이며, 민주주의는 대의제라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대의제는 정당정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정당은 주권자인 국민들, 시민들이 선거를 통해 선택받는다. 최소한 2% 이상의 선택을 받지 못한 정당은 해산되게 되어 있다. 정당의 해산은 국민들의 권리이다. 그것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자행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진보당에 대한 지지 여부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문제이며, 주권의 문제이다, 문명화된 민주국가로서의 자존심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일각에서, 일부 정치권에서는 당리당략의 차원에서, 일부 시민 사회에서는 호불호나 지지 여부의 문제로 국한 시켜 바라보는 것은 심히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나와 다른 이들의 삶을 존중하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나 역시 존중 받을 수 없는 것이다. 나 역시 이 사회 속에서는 수많은 다른 사람들 중의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를 어떤 사회로 만들어 나갈지는 오직 우리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공무원U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