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군함도> 조합원 단체 관람 행사

부산본부, "강제징용 역사, 잊지 말아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가 일제시대 강제징용의 참상을 다룬 영화 <군함도>를 단체관람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가 일제시대 강제징용의 참상을 다룬 영화 <군함도>를 단체관람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

노동계를 중심으로 일제시대 강제 징용의 참상을 다룬 영화 ‘군함도’ 관람 열풍이 불 조짐이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소속된 ‘일제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가 25일 시사회를 개최한데 이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각 본부와 지부도 조합원들과 함께 <군함도>를 단체 관람하는 행사를 벌이고 있다.

공무원노조 부산본부는 영화 개봉 당일인 26일 북구‧중구‧서구‧남구‧서구지부가 각 지역 상영관에서 단체 관람을 시작해 다음 달 1일까지 금정지부 등 10개 지부가 단체 관람 일정을 마련해 놓았다.

부산본부는 “부산지역에서 강제징용의 역사와 나라를 잃고 노예와 같을 삶을 살았던 노동자들의 삶을 잊지 않기 위해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내년 5월 1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조합원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군함도>를 관람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 해 말 부산겨레하나 등 지역 시민단체들과 힘을 모아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에 소녀상을 세우는 일에 앞장선 부산본부는 국립강제동원역사관과 소녀상을 둘러보는 사업 등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최근 부산시의회는 ‘부산시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지원 및 기념사업에 관한 조례안’을 확정해 소녀상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26일 북구지부 관람행사에 참가한 부산본부 신세민 본부장은 “광복이 됐지만 분단 현실에서 강제노동과 위안부의 역사는 치유되지 못했다”며 “지난 역사를 바로잡고 회복시켜 나가는 일에 함께 나섰으면 좋겠다. 8.15 광복절을 앞두고 통일을 앞당기는 일들을 함께 해 나가자”고 조합원들에게 인사말을 남겼다.

신 본부장은 “공무원노조의 로드맵이 ILO 협약 비준을 거쳐 설립신고와 공무원노조법 개정, 정치기본권 쟁취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다”며 최근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와 관련한 조합 현안을 전하기도 했다.

▲ 부산본부는 "조합원들의 관람 신청이 늘어 상영관을 넓은 곳으로 옮기는 지부들이 있다"며 "영화 관람에 대한 조합원들의 관심도가 높다"고 밝혔다. 사진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
▲ 부산본부는 "조합원들의 관람 신청이 늘어 상영관을 넓은 곳으로 옮기는 지부들이 있다"며 "영화 관람에 대한 조합원들의 관심도가 높다"고 밝혔다. 사진 = 공무원노조 부산본부

북구지부 최현섭 지부장은 “스페인 여행을 갔을 때 똘레도 성당에서 금이 많은 유물들을 보면서 그 이면에는 남아메리카 인디오들의 피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며 “이런 부분에 무관심하면 결국 역사를 망각하게 된다. 하시마(군함도)도 세계문화유산이지만 그 속에 압제받던 한국인이 있었다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부산본부는 “조합원들의 반응이 좋다”며 “관람 신청이 늘어서 상영관을 넓은 곳으로 옮기는 지부들도 있다”고 전했다.

경남본부 남해지부와 인천본부 부평지부 등도 개봉 당일 조합원들과 함께 단체관람 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공무원노조 전국의 본부와 지부들도 관람을 계획하고 있다. 8.15 광복절을 앞두고 각 지역별로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건립 예정을 앞두고 있어 이와 함께 영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위원회는 일본정부에 2015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군함도 시설에 대해 ‘강제징용역사도 함께 기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본이 아시아 산업혁명의 시작점’이라는 주장을 하며 일본 23개 장소를 '세계유산'으로 신청했는데 그 중 7개 장소는 군함도와 같은 한국인에 대한 강제징용이 있었던 곳이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공무원U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