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개원과 함께 국회 압박 농성돌입-

공무원노조, 해직자원직복직 투쟁 본격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김중남)이 또다시 140여명의 공무원해직자 원직복직 투쟁에 본격 나선다. 특히 이번 공무원노조 해직자들의 농성에 공공운수, 전해투 등 해직노동자들의 농성도 연이어 펼쳐질 전망이어서 6월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을 해직자원직복직의 장으로 달굴 것으로 보인다.

 

▲ 해고자 단위가 있는 집행부 장들이 앞장서고 성원들이 힘차게 함께하는 복직투쟁으로 반드시 복직해 해고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한해로 만들자는 의지를 담은 구호의 제창이 힘차다.
▲ 해고자 단위가 있는 집행부 장들이 앞장서고 성원들이 힘차게 함께하는 복직투쟁으로 반드시 복직해 해고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한해로 만들자는 의지를 담은 구호의 제창이 힘차다.

 

공무원노조는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해고자·연대단체 회원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해고자 원직복직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공무원노조는 이날 결의대회에서 "18대 국회에서 무산된 해직공무원 복권 특별법이 19대 국회에서 제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 결의대회에서 빠질 수 없는 투쟁하는 노래패 "동해와 바다"의 공연이 빠질 수 없었다.
▲ 결의대회에서 빠질 수 없는 투쟁하는 노래패 "동해와 바다"의 공연이 빠질 수 없었다.

 

박은희 공무원노조 부위원장은 여는 말을 통해 “19대 국회에서 특별법 제정을 도모하고 해고자를 현장으로 보내는 책임주체는 노조가 돼야 한다”며 “앞으로 장맛비와 비바람을 이겨 내며 희생자 원직복직을 위해 투쟁하자”고 말했다.

정의헌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은 “수많은 공공·공무원 노동자는 징계해고에 맞서 민주노조를 지키기 위해 싸워 왔다”며 “얼마 전 서울시 산하 지하철 해고자가 복직했듯이 정부를 상대로 투쟁해서 원직복직을 이루자”고 강조했다.

 

▲ 노동조합원으로서 몸짓 패의 투쟁 활동의 건재함을 영원히 보여 줄 것 같은 "정면돌파"의 몸짓 공연은 해고자들 뿐만이 아니라 지나가는 나그네까지도 걸음을 멈추게 하고 해고자 복직운동에 동참하게 하는 듯 춤사위가 신들린다.
▲ 노동조합원으로서 몸짓 패의 투쟁 활동의 건재함을 영원히 보여 줄 것 같은 "정면돌파"의 몸짓 공연은 해고자들 뿐만이 아니라 지나가는 나그네까지도 걸음을 멈추게 하고 해고자 복직운동에 동참하게 하는 듯 춤사위가 신들린다.

 

이호동 전해투 위원장 직무대행은 “공무원 해고노동자의 원직복직을 위해 민주노총과 전해투·공공운수연맹·공공운수연맹 해복투가 함께 모였다”며 “공무원 해고노동자는 기다릴 만큼 기다렸으며 (해고된 지) 8년이면 현장으로 돌아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

정보훈 공무원노조 희생자원상회복투쟁위원회 위원장은 투쟁결의문을 통해 “지난 10년간 노조 건설과 사수를 위해 달려온 것처럼 이제 현장으로 돌아가기 위해 달려가야 한다”며 “올해 전국의 모든 해고노동자들의 원직복직 쟁취를 위해 중단 없는 투쟁을 선언한다”고 강조했다.

 

▲ 해고자 단위가 있는 집행부 장들이 앞장서고 성원들이 힘차게 함께하는 복직투쟁으로 반드시 복직해 해고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한해로 만들자는 의지를 담은 구호의 제창이 힘차다.
▲ 해고자 단위가 있는 집행부 장들이 앞장서고 성원들이 힘차게 함께하는 복직투쟁으로 반드시 복직해 해고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한해로 만들자는 의지를 담은 구호의 제창이 힘차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김정우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과 윤유식 공공운수연맹 해복투 위원장이 참석해 공공운수연맹도 공무원노조 해직자 원직복직에 힘을 보탤 것을 결의했다. 공무원노조는 결의대회가 끝난 뒤 같은 장소에서 노숙농성에 돌입했다. 공무원노조는 국회·청와대·행정안전부·새누리당사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국회의원 면담을 통해 해직공무원 복권 특별법 제정을 호소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공무원U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